바이런 시선

· 지식을만드는지식
Ebook
168
Pages

About this ebook

영국의 대표적인 낭만주의 시인인 조지 고든 바이런은 자기 자신의 체험·개성·내력을 감추지 않고 노래한다. 말하자면, 청춘의 정열, 사랑의 만남과 이별, 기쁨과 슬픔, 삶의 고뇌와 비애와 울분, 어떤 것에 대한 동경과 긍지, 희망과 절망과 회의에 대해 솔직하고 과감하게 토로한다. 이러한 바이런의 특성은 그의 매우 솔직하고 대담한 언어 구사력에 연관된다. 그의 언어는 빠르고 명료하고 직접적이면서도 깊이가 있기 때문에 많은 독자들을 매혹한다.

그는 장면을 묘사하는 언어 구절들을 통해 등장인물의 성격을 나타내는 상징을 표출해 내기도 하며 낭만주의 시인들이 그렇듯이 자연 묘사에서 섬세한 감각과 예리한 관찰력과 함께, 자연으로의 도피와 자연에 대한 동경도 보여 주고 있다.


인간에 대한 관심

그러나 바이런이 정말로 관심을 갖고 그의 작품을 통해 그리는 것은, 인간과 관련된 모든 것들이라 할 수 있다. 그는 시인의 임무는 사랑은 물론 개인과 사회와 국가 전반에 걸친 모든 문제와 모든 인간을 있는 그대로 비판하며 책임감 있게 전달하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때문에 그는 자신이 경험한 많은 불운한 일들을 옹호하거나 부정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보여 줌으로써 당시 유럽 사회의 제도·활동·가치에 대해 공격한다. 그리고 사랑과 관련해서도 사회와 개개인이 보여 주는 위선에 대한 풍자적인 공격을 가한다. 사랑과 결혼에 대해 여성, 남성은 물론 부모들과 남편들이 보여 주는 위선에 대해서도 신랄하게 지적한다. 그리고 더 나아가 정신적인 사랑이나 자기기만적인 사랑이 갖고 있는 위선도 사악하다고 비난하며, 심지어 낭만주의 문학이 갖고 있는 사랑에 대한 이상적인 태도까지도 위선적이라고 지적한다. 이는 그가 그만큼 어떤 구속이나 억압도 받아들이지 않고, 자유분방한 생활을 추구했으며 귀족계급과 사교계의 부정부패와 위선을 거침없이 솔직하게 꼬집는 데 주저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신고전주의적 낭만파

그런데 바이런은 흔히 낭만파의 대표 시인으로 일컬어지지만, 18세기의 신고전주의적인 시의 목표와 방식을 따르고자 했다. 이로 인해 그의 시는 매우 다양한 낭만적 특성들을 지니고 있으면서도 신고전주의적인 스타일을 가지게 되었다. 시에는 현대 문명에 대한 풍자가 가미되어, 결코 감정의 세찬 동요에 휘둘리지 않으며 그 속에 풍자와 날카로운 이지적 냉소가 깃들어 있다. 따라서 사변적이고 비관적인 인생관을 노래하는 그에게서 흘러나오는 우울함은 단지 한때의 감상이나 한순간의 기분에 머물러 있지 않고 이보다 더 뿌리 깊은 절실한 인생관에서 나오는 우울함을 담고, 절망과 허무의 세계로 빠져들어 간다. 그러므로 바이런은 여러 작품들에서 암시를 받아 자기만의 독창적이고 사적인 시를 성공적으로 창조해 낸다.


바이런적 영웅(Byronic hero)-신과 사회를 향해 든 반기

이러한 바이런의 시적 특성에서 나온 바이런적 인물은 그의 시 도처에 나타나는데, 우울하며 정열적이고 통렬하게 참회하면서 후회 없이 죄를 저지르는 반인반신적인 주인공으로, 끝없는 항거를 하며 그 시대의 분위기를 대표적으로 잘 보여 주고 있다. 그의 걸작으로 알려진 대표적인 서사시 ≪차일드 해럴드의 순례≫와 ≪돈 주안(Don Juan)≫은 이러한 바이런의 시적 특성을 잘 나타내며 바이런적 영웅을 잘 보여 준다.

≪차일드 해럴드의 순례≫의 매력은 바이런이 낭만적 이상을 구현한 듯 여겨지는 차일드 해럴드의 성격에서 기인한다. 바이런은 이 작품에서, 인생을 폭넓고 깊게 경험했지만 이제는 공허한 쾌락에 지쳐 여행에서 위안을 찾는 귀족으로 망명자가 된 차일드 해럴드의 순례를 통해 이국땅을 생생하면서도 시적으로 그려 낼 뿐 아니라, 프랑스혁명이 끝난 뒤 나폴레옹 통치 기간 동안의 우울함과 환멸을 표출하고, 당시 문학으로서는 처음으로 솔직하게 낭만적인 이상과 현실 세계 사이의 불균형을 표현한다.

미완의 작품, 1819년부터 1824년까지 걸쳐 발표된 16편의 서사 풍자시 ≪돈 주안≫에서도 바이런은 사회의 부패와 타락을 폭로하고, 인간이 만들어 낸 온갖 도덕률을 모두 위선이라고 매도하며, 유럽의 모든 통치자들의 졸렬한 독재를 야유한다. 그는 이 작품에서 다양한 인간의 형상과 인간사의 각양각태를 보여 줌으로써 인생의 허무감을 토로하는데, 바로 이러한 다양성을 통해 궁극적인 일관성을 추구하면서도 19세기의 좁고 편협한 세계관을 극복하고자 한다.

그는 또한 파우스트적인 시극 <맨프레드>에서도 내면에 깔린 죄책감과 회한을 보여 주며 낭만주의 정신의 좌절을 잘 표현하고 있다.

이렇듯 그 시대에 널리 퍼져 있던 관습과 보수성으로부터 탈피하는 철학을 새로이 확립했던 바이런은 유럽 대륙의 문학과 예술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그가 살던 당시 유럽에서 시인으로서의 높은 명성을 얻었다.

About the author



조지 바이런(George G. Byron, 1788∼1824)은 1788년 1월 22일 영국의 런던에서 태어났다. 그의 집안은 유서 깊은 귀족 가문이었지만, 세상 사람들의 빈축을 사 악명이 높기도 했다. 그의 아버지 잭은 이런 바이런 집안의 전형적인 인물로 재혼을 한 후에도 다시 방탕한 생활을 하고서 가족을 버리고 프랑스로 도피해 거기서 비참하게 객사하고 말았다. 그러자 캐서린은 세 살 난 외아들 바이런을 데리고 그녀의 고향인 스코틀랜드 애버딘(Aberdeen)으로 돌아갔다. 어린 시절 어머니와 함께 애버딘으로 가서 적은 수입으로 세를 얻어 살았던 그는, 절름발이라는 사실에 매우 민감했던 소년 시절에 애버딘 그래머 스쿨(Aberdeen Grammar School)에 다녔다. 그가 열 살 때 자식 없이 죽은 부도덕한 큰할아버지의 뒤를 이어 남작의 작위를 물려받아 ‘바이런 경’이라는 칭호를 얻게 되고 큰할아버지의 재산을 물려받게 되자, 어머니는 그를 데리고 잉글랜드에 있는 본가인 뉴스테드(Newstead)로 돌아갔다. 변호사인 존 핸슨(John Hanson)의 도움으로 바이런은 제대로 된 치료를 받고 1799년 가을에 덜위치(Dulwich)에 있는 학교에 가기도 했다.
1801년에 바이런은 해로 스쿨(Harrow School)에 입학했고 곧이어 그는 케임브리지대학으로 진학하게 되는데, 학창 시절 동안 학교 공부에는 거의 신경을 쓰지 않고, 자기 마음 내키는 대로 시를 쓰고 소설과 역사책을 즐겨 읽었다. 또한 그는 선천적으로 불구인데도 운동을 좋아했고 술과 나쁜 친구와 천박한 여자들을 접하고 도박에도 손을 대 빚을 지는 등 무절제하고 방탕한 생활을 했다. 그리고 진보적인 휘그(Whig)당에 관심을 갖기도 했다.
1807년 여름 바이런은 그의 초기 시들을 묶어서 11월에 ≪덧없는 시편들(Fugitive Pieces)≫이라는 시집을 자비로 인쇄했다. 그리고 이듬해 6월에는 열아홉 살의 나이에 처음으로 시집 ≪한가한 시간(Hours of Idleness)≫을 정식 출간했다. 하지만 이 시집이 <에든버러 리뷰(Edinburgh Review)>에 의해 혹평을 받자, 그는 1809년에 <영국의 시인들과 스코틀랜드의 비평가들(English Bards and Scotch Reviewers)>을 써서 비평가들을 통렬히 비난하기도 했다. 그리고 이해에 성년이 된 그는 1월에 상원의원이 되었으며, 귀족원의원이 되어 당시의 귀족 자제들의 관습에 따라 일찍부터 꿈꾸어 오던 유럽 대륙 여행길에 올랐다. 그는 포르투갈, 스페인, 몰타, 알바니아, 그리스, 콘스탄티노플까지 두루 돌아다니면서 새로운 세계에서 새로운 인생을 체험하고 문학적인 시야를 넓힌 후 1811년 7월 14일 런던으로 귀국했다.
1812년 2월 27일에 바이런은 상원의원으로서 첫 연설을 했으며, 3월 초에 출간된 ≪차일드 해럴드의 순례≫는 순식간에 사람들을 매료시켰다. ≪차일드 해럴드의 순례≫ 1·2편은 2년간에 걸친 그의 유럽 여행에 대한 기행문인 셈인데, 이 시에서 주인공인 차일드 해럴드는 동방 제국을 순례하면서 보고 체험했던 이국의 풍물과 사람들과의 관계를 노래한다. 이 시는 바이런에게 “어느 날 아침에 깨어 보니 유명해져 있었다”는 뜻하지 않은 성공을 가져다주어서 미모의 청년 귀족 바이런이 휘그당 모임에서 명사 취급을 받도록 했으며, 영국 상류 사교계의 열렬한 갈채와 찬양을 받으며 여성들의 애모와 동경의 대상이 되어 그에게 무절제한 여성 편력을 가지도록 만들었다. 1813년에 ≪이단자(The Giaour)≫와 ≪아비도스의 신부(The Bride of Abydos)≫, 1814년에 ≪라라≫와 ≪해적(The Corsair)≫, 1815년에 ≪히브리 가곡(Hebrew Melodies)≫, 1816년에 ≪코린트의 포위(The Siege of Corinth)≫와 ≪파리지나(Parisina)≫ 등 수많은 걸작 시집들을 잇달아 출판하고 호평을 받았다.
바이런은 복잡했던 많은 여자들과의 관계에서 벗어나 안정된 가정생활을 하기 위해 1814년 9월 앤 이저벨라 밀뱅크와 1815년 1월 2일에 결혼을 했다. 하지만 그 후에도 계속되는 바이런의 가정적인 추문은 런던 사회 전체에 심각한 파문을 일으키게 되었고 신랄한 비방을 자아내게 됨으로써 바이런은 사회적으로 매장당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1816년 4월 바이런은 이혼을 하고 유럽으로 떠나 스위스, 이탈리아의 도처를 마음 내키는 대로 떠돌아다니면서 많은 여자들과 사랑을 나누는 생활을 했고, 다시는 영국으로 돌아가지 않았다.
그는 유럽에서 지내는 도중 이탈리아 비밀 혁명 단체에 들어갔으며, 이탈리아인의 생활을 어느 때보다 가깝게 접하는 한편 신성동맹에 대한 반란 운동에도 참가했다. 그러면서 1816년과 1818년에 ≪차일드 해럴드의 순례≫ 3·4편, 1816년에 ≪시용의 죄수 (The Prisoner of Chillon)≫, 1817년에 ≪베포(Beppo)≫와 시극 <맨프레드>, 1820년에 ≪단테의 예언(The Prophecy of Dante)≫과 ≪마리노 팔리에로(Marino Faliero)≫, 1821년에 ≪두 사람의 포스카리(The Two Foscari)≫와 시극 <카인(Cain)>, ≪심판의 계시(The Vision of Judgement)≫, 그리고 그의 필생의 대작인 ≪돈 주안≫을 1818년부터 1823년에 걸쳐 출간했다. 또한 시인 리 헌트(Leigh Hunt)를 계속 도왔고, 그가 편집하는 ≪리버럴(The Liberal)≫에 원고를 보내기도 했다.
그는 1823년 4월 런던에 있는 그리스 위원회로부터 터키에 대항해서 독립 전쟁을 하고 있는 그리스인들을 돕는 요원으로 활동해 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이제 자유와 정의와 인류애를 위한 정치 운동에 정열을 불태우고자 했던 그는, 터키에서 독립하고자 하는 그리스의 독립 운동을 돕고자 스스로 원군을 조직해 7월 16일에 그리스를 향해 출범했다. 하지만 그는 1824년 1월 그리스의 미솔롱기(Missolonghi)에 상륙한 후 그리스 독립군 최고 사령관이 되어 터키와의 전투를 기다리던 중 불운하게도 열병에 걸렸고, 의사가 고집한 사혈 요법으로 인해 병이 더 악화되어 그해 4월 19일에 36세의 젊은 나이로 죽었다. 그리스 전체가 그의 죽음을 애도했으며, 곧 그는 그리스의 국가적 영웅이 되었다. 그의 유해는 영국으로 옮겨졌으나 웨스트민스터 대사원 안치가 거부되어, 7월 16일에 뉴스테드와 가까운 한 교회 묘지의 집안 납골당에 안치되었다. 그러나 145년 뒤인 1969년에 그를 추도하는 기념비가 웨스트민스터 사원에 세워졌다.

Rate this ebook

Tell us what you think.

Reading information

Smartphones and tablets
Install the Google Play Books app for Android and iPad/iPhone. It syncs automatically with your account and allows you to read online or offline wherever you are.
Laptops and computers
You can listen to audiobooks purchased on Google Play using your computer's web browser.
eReaders and other devices
To read on e-ink devices like Kobo eReaders, you'll need to download a file and transfer it to your device. Follow the detailed Help Center instructions to transfer the files to supported eRead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