웃는 연습

· 창비시선 Book 413 · 창비 Changbi Publishers
5.0
1 review
Ebook
132
Pages

About this ebook

쓸쓸한 밤에 닿아도 우리는 웃을 수 있다

 

도처에서 반짝거리는 일상을 한편의 시로 만드는 시인 박성우

메마른 세상에 생명을 불어넣는 찰진 언어와 정겨운 목소리

 

나이 들어간다는 것은/중심에서 점점 멀어진다는 것//먼 기억을 중심에 두고/둥글둥글 살아간다는 것//무심히 젖는 일에 익숙해진다는 것(「나이」 전문)

 

한국 서정 시단을 대표하는 박성우 시인의 신작 시집 󰡔웃는 연습󰡕이 출간되었다. 생동감 넘치는 곰삭은 시어로 공동체적 삶의 풍경을 그리며 ‘새로운 언어의 발견’을 보여준 󰡔자두나무 정류장󰡕(창비 2011) 이후 6년 만에 펴내는 네번째 시집이다. 이번 시집에서 시인은 “도처에서 반짝거리는 일상의 아름다움을 포착”하여 “어떤 삶과 어떤 사연과 어떤 침묵”들이 고요 속으로 스며드는 “역사적이고 아름다운 삶의 순간들”(문신, 해설)이 고스란히 한편의 시가 되는 진경을 펼쳐보인다. 생활의 실감이 오롯이 배어든 찰진 언어들과 삶 속에서 우러나는 질박한 입말들이 정겨움을 더하는 여리고 부드러운 시편들이 따듯한 위안과 잔잔한 감동을 선사한다. 특히 시집 앞에 놓인 한행짜리 잠언류의 시들은 서늘한 공감을 자아내며 성찰의 시간을 갖게 한다.

 

고향 마을에 들어 내가 뛰어다니던 논두렁을 바라보니 논두렁 물도 나를 물끄러미 바라보았다//사내의 몸에서 나온 소년이 논두렁을 따라 달려나갔다 뛰어가던 소년이 잠깐 멈춰 서서 뒤를 돌아봤다//논두렁 멀리 멀어져간 소년은 돌아오지 않았고 사내는 그만 돌아가야겠다고 생각했다(「논 거울」 전문)

 

시인의 이름만으로도 가슴이 푸근해지는 시가 있다. 박성우의 시가 그렇다. 누가 읽어도 쉽고 편안하게 다가갈 수 있는 친숙함이 배어 있고 어떤 생명력이 몸 안에서 꿈틀거리는 그의 시는 굳이 해명하거나 분석할 필요가 없다. 그저 흐르는 대로 읽고 공감하면 그뿐이다. 시인은 “박새가 이팝나무 아래 우체통에 둥지를 틀”(「백일홍」)고 “조팝꽃무늬가 새겨진 강물 두어필”(「조팝꽃무늬 천」)이 흐르는 한 폭의 수묵화 같은 농촌의 순박한 정경 속으로 우리를 안내하여 “하냥 웃고만 살다 가기에도 아쉬운 게 삶”(「석구상(石拘像)」)이라며 위로를 건넨다.

 

날이 맑고 하늘이 높아 빨래를 해 널었다/바쁠 일이 없어 찔레꽃 냄새를 맡으며 걸었다/텃밭 상추를 뜯어 노모가 싸준 된장에 싸 먹었다/구절초밭 풀을 매다가 오동나무 아래 들어 쉬었다/종연이양반이 염소에게 먹일 풀을 베어가고 있었다/사람은 뒷모습이 아름다워야 한다고 생각했다(「또 하루」 전문)

 

시인은 “안 쳐도 되는 우리 집 마당 앞 풀을” “참 깨끗하게도 싹싹, 쳐”(「풀」)주고 가는 살갑고 정겨운 이웃들과 더불어 살아간다. 이들을 일러 문신은 해설에서 시인이 생활 속에서 찾아낸 ‘시적 인간’ 곧 ‘호모포에티쿠스’, ‘시민(詩民)’이라고 명명한다. “화장실 바깥벽과 가죽나무 둥치 타고 오르던 환삼덩굴까지 말끔하게 걷어내”(「금수양반」)주고, “텃밭 옆 비닐하우스에 대강 넣어둔/육쪽마늘과 벌마늘을 엮어두고”(「고마운 무단침입」) 가고, “날도 찬디/글 쓰느라 얼매나 욕보냠서” “뭐라도 자셔감서 일허라고/과일 보자기 두고 가”(「어떤 방문」)는 이웃들의 “참, 귀하고 고마운 일”(「어떤 방문」)들을 두고두고 가슴 깊이 새긴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짜내지 못한 짠물이 너무 많은”(「짠물 주름」) 어머니에 대한 시인의 사랑은 더욱 애틋하고 각별하다.

 

그녀는 원래 천구백삼십칠년 소띠인데 천구백사십이년 말띠로 호적이 올려졌다 때문에 그녀는 정년을 넘기고도 일터에서 오년이나 더 소처럼 일하고 말처럼 뛸 수 있었다 그녀는 그걸 늘 고마워했다 호적이 오년이나 늦게 올려진 것을 두고두고 감사해했다 (…)//내가 대학원까지 마치고 나온 대학의 청소노동자였던 왕언니는 울 어매의 또다른 이름이다 일흔한살까지 청소노동자로 일한 왕언니, 이 이름은 여전히 나를 가장 무기력하고 아프게 만드는 이름이지만 오늘은 나도 그렇게 불러본다 왕언니, 왕언니는 왕언니니까 아프지도 말고 늙지도 말고 쭈욱 왕언니로 살아 응? 왕언니!(「왕언니」 부분)

 

그렇다고 해서 시인이 “싱건지나 꺼내 심심하니 밥”(「어떤 대접」)이나 먹듯 한가롭게 유유자적하는 것은 아니다. “언제 끈 떨어질지 모”(「쇼핑백 출근」)르는 채 “수백번도 넘게 죽었으나 죽은 줄도 모르고” “죽을 똥 살 똥”(「마흔」) 살아갈 수밖에 없는 메마른 세태를 향해 날카로운 눈매를 던지기도 한다. 죽은 듯이 “그냥 말없이 살아”(「넥타이」)가야 하는 세상에서 “어떻게 사는 게 ‘나답게’ 사는 건가?” 자문하며 시인은 “하고픈 말이 너무 많은 입은 차라리 마스크로 가”렸으나 도저히 이대로 “가만히 있을 수 없는 사람들”(「백일홍」)과 어깨를 겯고 거리로 나서 “바늘 같은 것들이 모여 결국엔 거대한 눈발도 받아내는”(「솔잎이 우리에게」) 연대의 운명을 나눈다.

 

제1차 촛불, 10월 29일 청계광장/304낭독회에 목소리 보태러 갔다가/몇발짝 걸음을 보태, 촛불로 향했다//제2차 촛불, 11월 5일 전주 오거리/익산 ‘까페 키노’에서 행사가 있었다/외면할 수 없어, 가까운 전주로 갔다//제9차 촛불, 12월 24일 광화문광장/딸애는 아침부터 즐거운 걱정을 했다/가족과 함께 광장에서 성탄 전야를 보냈다//제10차 촛불, 12월 31일 전주 풍남문광장/길 위의 문학 콘서트, 사람들이 몰려왔다/전주는 전주답게 판소리 촛불을 이어갔다//헌재 탄핵 가결, 나쁜 대통령 즉각 구속……/딸애에게 줄 새해 선물 목록을 써보았다(「수첩에는 수첩」 부분)

 

한때 대학교수이기도 했던 시인은 삼년 만에 홀연 사직서를 내고 지금은 ‘자두나무 정류장’과 ‘이팝나무 우체국’이 있는 외딴 강마을에서 ‘그냥저냥’ ‘심심하게’ 살아간다. 삶의 기척에 귀 기울이며 “먼 기억을 중심에 두고/둥글둥글 살아”(「나이」)가는 그의 시를 읽다보면 “요즘 같은 세상에 이렇게 착해빠진 시인이 있다는 게 그저 고마울 따름”(󰡔박성우 시인의 창문 엽서󰡕 뒤표지글)이라는 안도현 시인의 말이 꼭 들어맞는다. 천생 시인일 수밖에 없는 사람. 세상을 바라보는 따스한 시선과 더없이 순정한 마음으로 “여전히 새로운 시의 길을 만들어내고 있”는 그를 “시인이 아니라면 또 무엇이라 부를 것인가.”(박준, 추천사)

 

내 눈물이 아닌 다른 눈물이 내게 와서 머물다 갈 때가 있어 내가 아닌 다른 사람이 내 안에 들어 울다 갈 때가 있어(「눈물」 전문)

 


[추천사]

몇해 전 가을, 회기동의 어느 골목이었던가. 우리는 밤길을 걷고 있었고 한참을 나의 뒤에서 걸어오던 시인은 어느새 곁으로 와 “걸음이 빨라서 너를 보고 싶어하는 사람이 힘들어하겠다”라는 말을 두고 다시 천천히 앞으로 걸어나갔다. 시인의 길은 “가죽나무 그늘 질겨지는 오뉴월 마당”과 백도라지꽃 피어 있는 무덤가를 지나 가끔 “돼지고기 두근 끊고 막걸리 세병 사서 금수양반 집”(「금수양반」)으로도 흘렀다가 자신의 어머니가 청소노동자로 일하기도 했던 한 대학의 인문관 앞으로도 이어졌다. 이미 시인이면서도 다시 시인이고자, 그 대학의 교수직을 던지고 “돌을 헐어 돌을 쌓”(「돌을 헐어 돌을」)듯 걸음을 헐어 다른 걸음을 만드는 그를, 처음부터 있지도 않은 스스로의 독(毒)을 끊임없이 울며 게워내려는 그를 그냥 시인이라고만 불러도 될까. 하긴 시인이 아니라면 또 무엇이라 부를 것인가. 『웃는 연습』에 이르러서도 그는 “무심히 젖는 일에 익숙해”(「나이」)져가며, 다른 사람을 제 안에 들여 울다 가라고 권하기도 하며 여전히 새로운 시의 길을 만들어내고 있다. ‘봤지? 시를 받아내는 건 시를 생각하는 일이 아니야, 시가 아닌 것들을 생각하는 마음이야’라고 내게 말해주듯이. 

―박준 시인



[목차]

제1부
개구리
칫솔과 숟가락

회사원
카드 키드
쇼핑백 출근
마흔
짜장면과 케이크
넥타이
겨울 안부
엄마아

 

제2부
중요한 일
행복한 옥신각신
옥수수 비

꾀꼬리
일반슈퍼 일반 여름
금수양반
돌을 헐어 돌을
지네
다정다한 다정다감
꽃무늬 남방
소년에게
보리

두뼘 가까이
오디
우리 마을 일소

고추, 우선 도로
어떤 방문
고마운 무단침입
염소
논 거울

 
제3부
오래된 습관
겨울 목련
조팝꽃무늬 천
찔레꽃가뭄
팽나무 청과상회
풀이 풀을 끌고
어떤 대접
푸른 구멍
나이
소한(小寒) 밤
누가 더 깝깝허까이
갈미할매와 내 신수(身數)
도라지
비닐하우스
토란
왕언니

 

제4부
눈물
솔잎이 우리에게
백일홍
배추꽃
짠물 주름
수첩에는 수첩
석구상(石狗像)
스무날 두어시간
이웃
또 하루

해설|문신
시인의 말



Changbi Publishers

Ratings and reviews

5.0
1 review

About the author

박성우 朴城佑

1971년 전북 정읍에서 태어났다. 2000년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거미」가 당선되어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시집 『거미』 『가뜬한 잠』 『자두나무 정류장』, 동시집 『불량 꽃게』 『우리 집 한 바퀴』 『동물학교 한 바퀴』, 청소년시집 『난 빨강』 『사과가 필요해』가 있다. 어린이책 『아홉 살 마음 사전』, 산문집 『박성우 시인의 창문엽서』 등도 펴냈다. 신동엽문학상, 윤동주젊은작가상 등을 받았다.

Rate this ebook

Tell us what you think.

Reading information

Smartphones and tablets
Install the Google Play Books app for Android and iPad/iPhone. It syncs automatically with your account and allows you to read online or offline wherever you are.
Laptops and computers
You can listen to audiobooks purchased on Google Play using your computer's web browser.
eReaders and other devices
To read on e-ink devices like Kobo eReaders, you'll need to download a file and transfer it to your device. Follow the detailed Help Center instructions to transfer the files to supported eReaders.